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실험결과

페이지 정보

작성자 공자 (211.♡.79.38) 댓글 0건 조회 7,235회 작성일 09-11-21 22:37

본문

외로움 타는 사람, 타인 감정에 무관심 spc.gif

외로움을 잘 타는 사람은 뇌가 움직이는 방식이 사교적인 사람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다른 사람이 기뻐하거나 고통 받는 모습에 별다른 감정 변화를 느끼지 못하며, ‘입장을 바꿔 생각하는’ 능력도 약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스스로 외롭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사람과의 관계에서 기쁨을 잘 못 느끼기 때문에 사회적 친교에 무덤덤해지면서 자신만의 독자적인 기쁨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는 결론이다.
여대생 23명을 대상으로 평소 느끼는 외로움의 정도를 설문조사 한 뒤, 행복해 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담은 사진과, 고통 받는 사람의 사진을 각각 보여주면서 이들의 뇌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기능성 자기공명영상(fMRI)으로 관찰했다.

그 결과 외로움을 타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뇌 영상에는 두 가지 측면에서 큰 차이가 나타났다.

먼저 행복한 사람들의 사진을 보여줬을 때
사교적인 여대생들에게선 뇌의 ‘배쪽줄무늬체(ventral striatum)’ 부분이 활성화된 반면, 외로움을 타는 여대생의 뇌에선 활성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뇌의 이 부위는 사회적 보상과 관계되는 부분으로, 예컨대 음식 또는 돈 같은 보상을 받으면 활성화된다. 또 사회적으로 좋은 평판을 받거나 타인에게서 사랑을 받을 때 이 영역이 활성화된다.
결국, 외로움을 타는 사람은 다른 이들이 기뻐하는 장면을 봐도 별다른 감흥을 느끼지 못하기 쉽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

또한 사진 속의 사람이 불행에 처하거나 고통을 당하는 모습을 보여 줬을 때
반응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번에는 ‘입장을 바꿔 생각해 보는’ 데 중요한 ‘측두정엽(temporoparietal junction)’ 부위의 활성화 여부에 주목했다.

그 결과, 사교적인 여대생은 고통당하는 사람의 사진을 봤을 때 이 부분이 활성화됐다.
즉, 상대방 입장이 돼서 고통을 느낀다는 결론이었다.
반면 외로움을 타는 여대생들은 이 부분이 거의 활성화되지 않았다.
이들은 고통의 원인에는 주목했지만, 고통을 당하는 사람의 입장에 서서 생각하는 능력은 떨어지기 쉽다는 결론이었다.

이처럼 외로움을 타는 사람은
다른 사람의 행복이나 불행에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타인과의 교섭에 소홀해지기 쉽고, 그래서 더욱 외톨이가 되면서 외로움에 시달리게 되는 것으로 해석됐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6,296건 135 페이지
자유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2946 김재환 7526 09-12-13
2945 유장현 9913 09-12-11
2944 공자 7022 09-12-11
2943 사자의산책 5802 09-12-10
2942 공유 6163 09-12-09
2941 공자 17559 09-12-08
2940 둥글이 15666 09-12-07
2939 일념집중 6160 09-12-07
2938 공유 6352 09-12-05
2937 鶴田 5846 09-12-03
2936 데끼 6239 09-11-30
2935 대원 14642 09-11-30
2934 데끼 6630 09-11-30
2933 공자 17390 09-11-30
2932 둥글이 8832 09-11-28
2931 공자 9386 09-11-27
2930 공유 7040 09-11-24
2929 김영대 16146 09-11-23
2928 둥글이 7320 09-11-23
2927 공자 7272 09-11-23
2926 공자 17016 09-11-23
2925 돌담 13977 09-11-22
열람중 공자 7236 09-11-21
2923 ahffk 14175 09-11-19
2922 공자 7475 09-11-18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접속자집계

오늘
3,818
어제
4,037
최대
18,354
전체
7,461,352

Copyright © 2006~2018 BE1. All rights reserved.